기획재정부는 15일 '행복도시락 사회적협동조합'을 재정부 제1호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인가하고 정부세종청사에서 김동연 제2차관 주재로 수여식을 열어 최강종 이사장에게 설립인가증을 전달했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주민의 권익과 복리를 증진하고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와 일자리 등을 제공하는 비영리 협동조합이다.
행복도시락 사회적협동조합은 취약계층에 급식사업을 하는 사회적기업들이 식자재 공동구매 등을 위해 설립했다.
설립 전에는 SK그룹 산하 공익재단인 행복나눔재단이 사회적기업인 행복도시락센터들에 설립ㆍ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각 센터에서 개별적으로 식자재 구매ㆍ메뉴 개발ㆍ급식 제공 등의 사업을 운영했다.
앞으로는 행복나눔재단의 출연과 각 조합원의 출자로 설립한 행복도시락을 통해 공동으로 사업을 운영하게 된다.
재정부는 "행복도시락은 대기업이 출연한 후원자(행복나눔재단)와 후원받는 곳(사회적기업)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공동으로 운영하는 독특한 형태의 협동조합"이라고 설명했다.
또 "후원받는 조합원은 공동구매 등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안정적으로 식자재를 확보해 질 높은 급식을 제공하고 취약계층의 고용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김동연 차관은 수여식에서 "국민들이 편리하게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도록 주요 7개 권역별로 상담과 컨설팅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을 빠른 시일 내에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재정부는 강경식 전 부총리가 이사장으로 참여하는 '글로컬 사회적협동조합'에 제2호 설립을 인가할 계획이다.
글로컬은 강 전 부총리와 정동수 전 환경부 차관 등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장경제 및 자유민주주의 등을 교육하는 협동조합이다.
한편,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후 전국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협동조합 설립 신청이 줄을 잇고 있다.
15일 현재 전국에서 일반협동조합 160건 및 사회적협동조합 21건의 설립 신청이 이뤄졌다. 이 가운데 일반협동조합 93건과 사회적협동조합 2건이 신고수리 또는 인가됐다.
재정부는 "각 지자체와 협력해 협동조합 상담 및 컨설팅 등 교육ㆍ홍보를 강화하고, 협동조합이 시장에서 다른 법인격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관련 법ㆍ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협동조합운영과(044-215-5932)
작성. 기획재정부 미디어기획팀 곽승한(shkwak@mos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