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의 9월 18일자 보도에 의하면, 농협은 최근 '사업구조개편 중앙위원회'를 열고 중앙회 명칭 유지 등을 결정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반면 사업구조 개편 형태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중앙위는 지난 16일 3차 회의에서 △브랜드 가치 감안한 중앙회 명칭 유지 △상호금융의 중앙회 존치 △상호금융에 독립된 인사권과 예산권을 주는 '상호금융 대표이사제 도입' 등을 합의했다는 것.
이어 17일 열린 4차 회의에서는 사업구조개편 형태가 논의됐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금융과 경제(농업지원) 분리방안과 금융 우선 분리방안을 놓고 여러 의견이 개진됐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합니다.
농협중앙회의 신경분리를 의미하는 사업구조 개편 시기 역시 결론을 얻지 못했다고 합니다. 농협은 2012년에 분리하자는 의견이 주를 이뤘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다음 회의에서 다시 논의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 노동조합을 대표한 위원은 2017년 분리 안을 지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다른 언론의 보도에 의하면, 전국축산업협동조합노동조합(전축노)과 축협중앙회 노동조합 등은 이 방안에 반대하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축산단체협의회(축단협) 등과 함께 축산경제대표이사의 별도 선출제 및 축산경제 부문의 독립기구화를 주장해 온 축산단체들과 궤를 같이하는 행보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신경분리 관련 필요자본금 중 부족자본금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농협중앙회 내부의 의견이 어느 정도 모아졌다고 합니다. 중앙위원회는 정부에서 경제사업 활성화 등을 위해 전제조건 없이 지원해야 하며 나아가 이를 담보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이러한 농협중앙회의 최근 내부 입장은, 지난 9월 초 이뤄졌던 시도지역본부별 간담회를 통해서도 감지할 수 있었던 부분인데요. 이러한 논의 결과가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농협개혁위원회에서 합의된 결과를 정면으로 거스르며, 올 봄에 큰 파문을 일으키며 이슈화된 이른바 '멕킨지 보고서'의 내용을 그대로 답습한 것들이 상당수여서, 앞으로 국회 입법 과정 등에서 상당한 진통과 갈등이 예상되는 부분입니다.
5차 회의는 오는 25일 열리며 사업구조 개편 형태 및 시기 등이 논의될 예정입니다.